2023년 10월 20일 백령·대청 해안에서 건강한 어린 꽃게 40만 마리를 방류해 수산자원 회복과 어업인 소득 증대를 목표로 했습니다. 내년 봄 어획 가능성이 예상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어업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가격 경쟁은 금어기 해제 후 유통업계에서 치열했습니다.
이처럼 꽃게 방류 정책은 단순한 생물 방류를 넘어, 지속 가능한 수산업과 지역 사회의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볼 수 있어요
🧠 옹진궁의 꽃게방류
옹진군 수산종자연구소에서 약 1개월간 사육한 건강한 어린 꽃게는 갑폭 1cm 내외로 성장해 전염병 검사를 마친 건강한 종자다. 이 개체들은 백령, 대청면장 및 유관기관, 어촌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식 최적지인 백령도 옛 용기포항과 대청도 지두리 해안에 방류됐다.
방류한 어린 꽃게는 내년 봄에는 어획이 가능한 크기로 자라 어족자원 고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해5도 어업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꽃게 방류 정책은 단순한 생명체 방류를 넘어, 경제적·생태적·사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왜 꽃게인가?
- 영양 풍부: 단백질, 칼슘, 아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성장 발달과 혈관 건강에 도움.
- 요리 다양성: 찜, 탕, 볶음, 간장게장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 가능.
- 계절 인기: 특히 가을철 살이 꽉 찬 꽃게는 제철 별미로 인기가 높아요.
💰 유통업계의 가격 전쟁
꽃게 금어기가 해제되면서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몰들이 10원 단위의 가격 경쟁을 벌이고 있어요. 이마트는 100g당 788원에서 741원까지 가격을 낮췄고, 쿠팡도 이에 맞춰 경쟁에 뛰어들었죠.
🧠 꽃게 방류 효과
1. 꽃게 방류 경제적 효과
- 경제성 분석 결과: 꽃게 방류 사업의 비용 대비 편익(B/C) 비율은 2.16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투입한 비용 대비 약 두 배 이상의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 소비자 혜택: 방류로 인해 꽃게 공급이 늘어나면서 가격 안정화가 이루어지고, 소비자 잉여(benefit)는 생산자보다 6배 이상 높게 나타났습니다.
- 어업인 소득 증대: 방류된 꽃게가 성장해 재포획되면 어획량이 증가하고, 이는 어업인의 직접적인 수입 증가로 이어집니다.
2. 생태적 효과
- 자원 회복: 어린 꽃게를 방류함으로써 자연산 자원의 고갈을 완화하고, 지속 가능한 어업 기반을 마련합니다.
- 생태계 균형 유지: 꽃게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종으로, 개체 수 증가가 먹이사슬과 서식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3. 사회적·지역적 효과
- 지역 경제 활성화: 꽃게는 지역 특산물로서 관광·식품 산업과 연계되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 어촌 공동체 참여: 방류 행사에는 어촌계, 지자체, 연구기관 등이 함께 참여하여 공동체 의식과 협력 기반이 강화됩니다.
'왜그럴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정해진 기한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잔액이 자동 소멸됩니다. (1) | 2025.08.26 |
---|---|
65세 이상 실업급여 확대, 재정 확보 방안과 변화하는 고령층 노동시장의 과제 (1) | 2025.08.24 |
정약용의 삶에서 배우는 네 가지 태도 (0) | 2025.08.22 |
공자가 인생에서 멀어져야 한다고 경고한 해로운 인연 4가지와 거리두기 (0) | 2025.08.22 |
국민연금;내년부터 월수입 509만원까진 감액 '無' (0)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