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 google2d05afb8023c324c.html
본문 바로가기
바람쐬기

영덕의 푸른길, 목은 사색의 길 —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by axles 2025. 7. 17.
반응형

‘목은 사색의 길’은 경북 영덕군 축산면에서 괴시리 전통마을까지 이어지는 약 9.5km의 블루로드 5코스로,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 이색 선생의 삶과 철학을 되새기며 걷는 길이에요.

 

목은의 사색의길

🌿 주요 경로와 볼거리

  • 죽도산 둘레길: 대나무 군락이 우거진 산책로,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속함
  • 얼굴바위·퇴적암층: 자연이 만든 조각품 같은 암석 지형
  • 대소산 봉수대: 조선시대 통신시설과 현대 통신탑이 공존하는 상징적 장소
  • 망월정: 동해의 달을 바라보는 정자, 고요한 풍경이 인상적
  • 사진구름다리: 사진리와 괴시리를 잇는 다리로 바다와 산을 동시에 감상 가능
  • 괴시리 전통마을: 목은 이색의 생가터와 기념관이 있는 유서 깊은 마을

🧠 목은 이색, 그가 남긴 의미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정치인·시인으로, 정몽주·길재·정도전 등 수많은 제자를 길러냄
  • 조선 건국을 거절하고 붓을 꺾은 충절의 상징
  • 그의 시와 철학은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사색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요

🚶‍♀️ 걷는 이에게 주는 경험

  • 역사와 자연의 조화: 바다, 산, 마을이 어우러진 풍경 속에서 옛 선비의 정신을 되새김
  • 사색의 여정: 단순한 트레킹이 아닌, 마음을 정리하고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길
  • 문화적 감동: 기념관과 유물, 시비 등을 통해 목은의 삶을 가까이 느낄 수 있음

이 길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시간을 걷는 길이에요. 

 

목은 사색의 길, 언제 걷는 게 가장 좋을까요?

‘목은 사색의 길’은 계절마다 다른 매력을 지닌 길이지만, 특히 봄과 가을이 걷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꼽혀요.

🌸 봄 (3월~5월)

  • 진달래, 자목련, 복사꽃 등 봄꽃이 만발해 풍경이 화사해요
  • 소나무 숲에서 피톤치드 향을 맡으며 걷는 힐링 산책 가능
  • 기온이 적당하고 바람이 시원해 트레킹에 최적

🍁 가을 (9월~11월)

  • 단풍과 낙엽이 어우러진 고즈넉한 분위기
  • 사색과 명상에 어울리는 조용한 숲길
  • 해안 풍경과 함께 가을 바다의 낭만도 느낄 수 있어요

☀️ 여름과 겨울은?

  • 여름은 숲길이 그늘을 제공해 덥지 않지만, 습도와 벌레에 주의 필요
  • 겨울은 고요한 분위기와 설경이 매력적이지만, 산길이 미끄러울 수 있어 안전 장비 필수

📌 : 오전 9시~11시 사이에 출발하면 햇살이 따뜻하고, 오후 늦게까지 걷기에도 무리가 없어요. 특히 봄의 끝자락과 가을의 초입은 사람이 적고 풍경이 아름다워 혼자 걷기에도 딱 좋은 시기랍니다.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1396)

 고려 말의 대학자이자 정치가, 그리고 성리학의 선구자예요.

이색은 경북 영덕 괴시리에서 태어나, 고려 말 혼란한 시대 속에서도 학문과 절개를 지킨 인물로 평가받습니다. 그의 삶은 단순한 관료의 길을 넘어서, 성리학의 확산과 후학 양성, 그리고 고려에 대한 충절로 빛나죠.

🧠 주요 업적과 역할

  • 성리학 확산의 중심 인물: 원나라에서 유학하며 주자학을 익히고,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길재·정도전·권근 등 수많은 제자를 길러냄
  • 고려 말 개혁 참여: 공민왕 시절, 토지제도 개혁·불교 억제·교육 진흥 등 다양한 개혁안을 제시
  • 정치적 절개: 조선 건국 후 이성계의 출사 요청을 거절하고, 끝까지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킴

🏛️ 관직과 정치 활동

  • 26세에 과거 급제 후 성균관 대사성, 정당문학, 판문하부사 등 요직을 역임
  • 위화도 회군 이후 조선 건국에 협조하지 않고 은거
  • 조선 태조가 출사를 권유했지만 끝내 거절하고 여강에서 생을 마침

📖 문학과 철학

  • 문집: 《목은문고》, 《목은시고》 등 55권 이상의 시문을 남김
  • 사상: 유교적 입장에서 불교를 이해하고자 했으며, 유불선 융합을 시도
  • 시조와 한시: 자연과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는 작품 다수

🧑‍🏫 제자와 영향력

제자 역할

정몽주 고려 충신, 성리학자
정도전 조선 개국 공신, 개혁가
권근 조선 성리학의 주류 형성
길재 절의파의 상징적 인물

 

이색은 단순히 과거의 인물이 아니라, 지성과 절개, 교육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예요. 그의 철학과 정신은 지금도 ‘목은 사색의 길’ 같은 문화유산을 통해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영덕의 푸른길, 목은 사색의 길 —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산책로

반응형

지금 신청하기 테스트 버튼